상단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Home / 보건의료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국가방역체계 개편 방안 공청회
감염관리 전문인력 강화, 병원문화 개선 등 논의
기사입력 2015-08-27 오전 08:54:39

메르스 사태 후속대책으로 감염관리 전문인력에 대한 투자 강화, 병원문화 개선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보건복지부 메르스 후속조치 추진단(단장·권덕철)은 `국가방역체계 개편 방안'에 대한 공청회를 8월 18일 개최했다.

공청회에서는 △신종감염병 방역대책 개편 방안 △감염병 대응 방역체계 개편 방안 △의료관련감염관리 및 감염병 전문 진료체계 구축 방안 △응급의료체계 및 병원문화 개선 방안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발표자들은 역학조사 및 검역관리 시스템이 강화되고, 의료관련감염 감시체계 정비와 감염관리 평가가 시행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감염관리 전문인력 및 시설 확충에 대한 투자와 현장중심의 위기관리 대응 조직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감염관리료, 격리수가 등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포괄간호서비스 확대, 응급의료체계 및 병원문화 개선, 응급실 과밀화 해소, 다인실 개편 등에 대한 방안도 제안했다.

각 분야별 전문가들의 토론도 진행됐다.

토론자로 참석한 이지영 대한감염관리간호사회장은 “보건당국과 의료기관 간 소통 통로를 마련하고, 감염병 위기 대응 훈련이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음압격리병상 확충을 위한 재정지원은 물론 감염관리 전담인력 배치 기준이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권준욱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감염관리를 잘하는 병원에 대한 인센티브제를 실시하고, 감염관리 전문인력과 시설 확충에 힘쓰겠다”며 “반성하는 자세로 국가방역체계를 기초부터 하나하나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질병관리본부를 청(처)으로 승격해 독립시켜야 한다는 주장과 본부장의 지위만 차관급으로 격상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두고 공방이 벌어졌다.

복지부 메르스 후속조치 추진단은 이번 공청회에서 논의된 의견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정부 내 협의를 거쳐 `국가방역체계 개편 방안'을 9월 초 발표할 계획이다.

주혜진기자  hjjoo@koreanurse.or.kr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