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지부/산하단체
임상간호사회, 병원표준화 심사준비 설명회 개최
간호부문에 `간호부서' 관련 7개 항목 신설
기사입력 2002-05-23 오전 09:53:31
임상간호사회(회장·이애주)는 2002년도 병원표준화심사 준비를 위한 설명회를 심사대상병원 간호부서장 및 담당자, 심사위원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15일 개최했다. 올해 심사는 6월 18일부터 9월 11일까지 실시된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병원표준화심사 중 간호부문과 특별진료부문 심사요강의 항목 및 작성지침이 소개됐다. 김기철 대한병원협회 교육수련부장이 `병원표준화 심사요강 방향'에 대해 발표했으며, 이애주 임상간호사회장이 간호부문 심사요강에 대해, 송경자 중환자간호분야회장이 특별진료부문 심사요강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간호부문에는 △간호부문 △중앙공급실부문 △직물과 세탁부문 △청소 및 소독부문 등 4개 영역, 특별진료부문에는 △중환자실부문 △기타특별진료부문(분만실·신생아실·인공투석실·화상치료실) 등 2개 영역이 포함돼 있다.
평가항목은 간호부문 33개 항목, 중앙공급실부문 15개 항목, 직물과 세탁부문 12개 항목, 청소 및 소독부문 8개 항목, 중환자실부문 32개 항목, 기타특별진료부문 55개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이중 특히 주목할 부분은 올해부터 간호부문 심사요강에 7개 항목이 신설됐다는 점이다.
새로 추가된 항목은 △간호부서는 업무수행에 필요한 적절한 공간과 인력이 있다 △간호부서에는 지휘체계, 책임부서, 보고 및 협의체계의 한계를 명확히 하는 직제표가 문서로 작성되어 있다 △간호부서 내에는 부서의 목표 달성과 발전을 위해 제 위원회가 운영되고 있다 △간호부서장은 병원의 정책결정에 참여한다 △간호부서의 정책과 절차는 병원 내에서 인정된 것이다 △간호부서장은 간호부서의 예산을 책정하고 편성, 조정한다 △간호부서에는 문서화된 직원의 교육계획 및 예산이 수립되어 있다 등이다.
또한 중환자실부문의 경우 지난해에는 각 중환자실별로 구분해 심사하던 것을 올해는 중환자실 전체를 통합 심사할 수 있도록 항목을 새로 개발했다.
이와 함께 특별진료부문의 경우 그동안은 심사대상 4개 병원군(A·B·C·D) 중 B·C·D군에 대해서만 간호사 심사위원이 심사를 했으나 올해는 A군에 대한 심사도 간호사가 맡게 됐다. A군은 대학병원 및 500병상 이상, B군은 300∼499병상, C군은 200∼299병상, D군은 100병상 이상(인턴) 병원을 말한다.
이애주 임상간호사회장은 “그동안 간호부서의 위상 강화와 수준 향상을 위해 간호부문의 심사항목을 보완해 줄 것을 적극 건의해 왔다”면서 “올해 간호부문 심사요강에 7개 항목이 신설된 것은 큰 성과이며 앞으로 간호부서가 더욱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병원표준화심사는 병원의 진료 및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고 의료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1981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제도. 심사위원은 각 진료분과 학회와 수련병원장, 간호부서장 등으로 구성되며 현지심사와 서류심사를 실시한다.
정규숙 기자 kschung@nursenews.co.kr
목록
이날 설명회에서는 병원표준화심사 중 간호부문과 특별진료부문 심사요강의 항목 및 작성지침이 소개됐다. 김기철 대한병원협회 교육수련부장이 `병원표준화 심사요강 방향'에 대해 발표했으며, 이애주 임상간호사회장이 간호부문 심사요강에 대해, 송경자 중환자간호분야회장이 특별진료부문 심사요강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
간호부문에는 △간호부문 △중앙공급실부문 △직물과 세탁부문 △청소 및 소독부문 등 4개 영역, 특별진료부문에는 △중환자실부문 △기타특별진료부문(분만실·신생아실·인공투석실·화상치료실) 등 2개 영역이 포함돼 있다.
평가항목은 간호부문 33개 항목, 중앙공급실부문 15개 항목, 직물과 세탁부문 12개 항목, 청소 및 소독부문 8개 항목, 중환자실부문 32개 항목, 기타특별진료부문 55개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이중 특히 주목할 부분은 올해부터 간호부문 심사요강에 7개 항목이 신설됐다는 점이다.
새로 추가된 항목은 △간호부서는 업무수행에 필요한 적절한 공간과 인력이 있다 △간호부서에는 지휘체계, 책임부서, 보고 및 협의체계의 한계를 명확히 하는 직제표가 문서로 작성되어 있다 △간호부서 내에는 부서의 목표 달성과 발전을 위해 제 위원회가 운영되고 있다 △간호부서장은 병원의 정책결정에 참여한다 △간호부서의 정책과 절차는 병원 내에서 인정된 것이다 △간호부서장은 간호부서의 예산을 책정하고 편성, 조정한다 △간호부서에는 문서화된 직원의 교육계획 및 예산이 수립되어 있다 등이다.
또한 중환자실부문의 경우 지난해에는 각 중환자실별로 구분해 심사하던 것을 올해는 중환자실 전체를 통합 심사할 수 있도록 항목을 새로 개발했다.
이와 함께 특별진료부문의 경우 그동안은 심사대상 4개 병원군(A·B·C·D) 중 B·C·D군에 대해서만 간호사 심사위원이 심사를 했으나 올해는 A군에 대한 심사도 간호사가 맡게 됐다. A군은 대학병원 및 500병상 이상, B군은 300∼499병상, C군은 200∼299병상, D군은 100병상 이상(인턴) 병원을 말한다.
이애주 임상간호사회장은 “그동안 간호부서의 위상 강화와 수준 향상을 위해 간호부문의 심사항목을 보완해 줄 것을 적극 건의해 왔다”면서 “올해 간호부문 심사요강에 7개 항목이 신설된 것은 큰 성과이며 앞으로 간호부서가 더욱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병원표준화심사는 병원의 진료 및 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고 의료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1981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제도. 심사위원은 각 진료분과 학회와 수련병원장, 간호부서장 등으로 구성되며 현지심사와 서류심사를 실시한다.
정규숙 기자 kschung@nursenews.co.kr
정규숙 kschung@nurs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