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국가트라우마센터 BI(브랜드 아이덴티티
이제 국가가 직접 나서 국민들의 재난 트라우마를 관리할 방침이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국가 차원의 효과적인 트라우마 심리지원 체계 마련을 위해 국립정신건강센터 내에 '국가트라우마센터'를 설치하고 4월 5일 개소식을 개최했다. 센터장은 이 철 국립정신건강센터장이 겸임한다.
지난 2014년 세월호사고 이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경주·포항 지진 등 대형사고 수습과정에서 재난 심리지원에 대한 국가 역할이 강조돼 왔다.
이에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을 통해 보건복지부장관이 국가트라우마센터를 설치·운영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고, 국가트라우마센터 건립이 정부 국정 100대 과제에 포함되면서 빠르게 진척됐다.
지금까지 대형재난에 대한 심리지원은 2013년 5월 국립정신건강센터 내에 발족된 심리위기지원단이 담당해왔다. 그러나 심리위기지원단은 비상설 조직으로 중앙 차원의 체계적인 대응이 어려워 정신건강 고위험군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복지부는 국가트라우마센터를 통해 트라우마 전문가를 양성하고, 지역별로 재난 위기대응 및 트라우마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재난 피해자들의 심리적 회복을 도울 계획이다.
특히 올해 재난 유형별 활동지침, 심층사정 평가도구 등을 개발하고, 재난현장에서 양질의 정신건강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하도록 이동버스 운영 등 현장 중심의 체계적 심리지원 시스템을 구축한다.
박능후 장관은 “국가트라우마센터를 시작으로 향후 2020년까지 국립정신병원(공주·나주·춘천·부곡)에 권역별 센터를 설치해 전국적인 재난 심리지원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혜진 기자 hjjoo@koreanurs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