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결과를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사장 황태연)에서 발표했다.
0...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은 병원 응급실에 사례관리 전담인력을 배치하고, 응급의학과·정신건강의학과와 협업해 자살시도자에 대한 적시 치료와 사후관리를 통해 자살 재시도를 예방하는 사업이다.
자살시도자가 응급실에 오면 응급의학과는 초기평가로 환자의 과거와 현재의 자살위험을 평가하고, 정신건강의학과에서는 자살 시도와 관련한 정신과적 진단평가를 실시한다.
사례관리팀은 응급실에서 퇴원한 자살시도자에게 전화 및 대면 상담을 최소 4회 진행한 후, 지역정신건강복지센터로 연계한다.
2013년 25개 병원에서 처음 시행한 이후 매년 참여병원이 늘어 2020년에는 총 66개 병원이 응급실 사후관리사업을 수행했다. 올해 8월 기준 응급실 사후관리사업 수행기관은 총 76개소이다.
전반적 자살위험도, 자살 생각, 우울감 등 감소
0...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 2만1246명(사망 및 전원 제외) 중 1만2693명(59.7%)이 사후관리에 동의했다. 이 가운데 사례관리서비스 4회 이상 완료자 8069명(63.6%)을 대상으로 서비스 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사후관리를 진행할수록 자살 및 정신건강 관련 지표인 △전반적 자살위험도 △자살 생각 △우울감 △알코올 사용문제 △식사·수면 문제 등이 호전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전반적 자살위험도가 높은 사람의 비율은 사후관리 초기(14.4%)와 4회 진행 후(6.5%)를 비교했을 때 7.9% 감소했다.
자살 생각이 있는 경우는 사후관리 초기 27.5%였으나 4회 진행 시 15.7%로 11.8%p 감소했다.
우울감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사후관리 초기 65.3%에서 4회 진행 시 48.5%로 16.8%p 감소했다.
알코올 사용문제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사후관리 초기 14.3%에서 4회 진행 시 10.6%으로 3.7%p 감소했다.
식사·수면 문제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사후관리 초기 47.8%에서 4회 진행 시 37.1%로 10.7%p 감소했다.
사업 수행기관 및 건강보험 수가 시범사업 확대
0...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에 대한 의료비 지원 현황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의료비 지원은 자살시도자의 지속적인 사후관리 참여를 유도하고, 자살위험도를 낮추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후관리서비스에서 중도 탈락하는 비율은 의료비 수혜자(15.1%)가 의료비 비수혜자(38.0%)보다 22.9%p 낮았다.
사후관리 초기와 비교해 4회 진행 시 자살위험도가 높은 사람의 비율은 의료비 비수혜자가 7.7%p 감소한 데 비해 의료비 수혜자는 10.6%p 감소했다.
0... 보건복지부 염민섭 정신건강정책관은 “응급실 사후관리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자살시도자가 다시 자살에 이르지 않도록 자살 고위험군 자살예방대책을 확대·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업 수행기관을 확대해나가고, 자살시도자가 어느 응급실에 가더라도 적절한 치료와 사후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건강보험 수가를 적용하는 시범사업을 전국으로 확대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정규숙 편집국장 kschung@koreanurs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