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특성, 장기후유증, 이상반응 정밀분석 가능
비식별화 조치 등 개인정보 침해 원천 차단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강도태)과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코로나19 빅데이터를 연구기관에 개방한다고 밝혔다. 방역정책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코로나19로 인한 건강 피해 분석과 적극적인 예방 및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해서다.
건보공단과 질병청은 지난 2021년 4월 상호협력을 통해 코로나19 관련 자료를 통합 연계해, 코로나19 전주기 자료와 건보공단의 전 국민건강정보를 결합한 우리나라만의 감염병 연구 빅데이터 분석환경을 구축한 바 있다.
이번 코로나19 빅데이터 개방은 ‘건보공단‧질병청 공동주관으로 방역정책 필수과제에 대한 공동연구’ 및 ‘연구용 자료(DB) 제공’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올해 4월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코로나19 빅데이터 개방에 대한 자세한 추진일정은 4월 중 건보공단 누리집 및 모바일 앱(The건강보험)을 통해 공지할 예정이다.
○이번 코로나19 빅데이터 개방은 감염병 학술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국내 연구기관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다. 철저한 비식별화 조치와 데이터 개방 안전성 제고를 위해 별도의 연구심의 절차를 거칠 계획이다.
‘방역정책 필수과제에 대한 공동연구’는 시급성이 높은 코로나19 현안을 선정하고, 연구수행자를 공모해, 건보공단‧질병청과 공동연구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양 기관은 코로나19 분석사례 제공 및 분석 큐레이팅 등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연구용 DB 제공’은 건보공단의 국민건강정보와 코로나19 자료를 연계해 일반연구자에게 맞춤형 연구 DB 방식으로 제공된다. 개인정보 비식별화 과정을 거쳐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모든 정보는 원천 배제할 계획이다. 또한 자료는 건보공단의 빅데이터 분석센터에서 폐쇄망을 통해 제공해 개인정보 침해 우려가 전혀 없도록 할 계획이다.
○강도태 건보공단 이사장은 “코로나19와 국민건강보험 정보를 연계한 빅데이터 활용으로 백신‧치료제 및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 등 감염병 연구의 활성화를 기대한다”며 “빅데이터가 원활히 개방되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은경 질병청장은 “코로나19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치료 기술, 예방법, 장기후유증, 이상반응 등의 분석이 가능해질 것으로 본다”며 “국민의 알권리 충족과 민간분야의 감염병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개인정보가 침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질병청이 보유하고 있는 감염병 관련 정보를 지속 개방하고, 이에 필요한 법령도 정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규숙 편집국장 kschung@koreanurse.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