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 바로가기
2000년도 가을학기 학위취득자 명단
기사입력 2000-09-21 오전 10:46:46

2000년도 가을학기 학위수여식에서는 간호계 박사 24명과 석사 230명이 새로 배출됐다.
박사학위 취득자는 간호학 박사만 24명이다. 석사학위 취득자는 △간호학 석사 99명 △보건학 석사 77명 △교육학 석사 31명 △행정학 석사 23명 등 총 230명이다.

◆박사학위
<가톨릭대학교>
△허명행-일대일 분만지지간호가 초산부의 분만동통, 분만스트레스, 분만경험 및 신생아 상태에 미치는 효과 △안재현-신장이식환자의 추후관리이행을 위한 자가효능증진 프로그램 효과 △최순영-운동프로그램이 만성 요통 호소 여교사의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통증, 기능장애 및 우울,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이수연-거제지역 여성의 양육경험에 대한 문화기술지 △황미혜-노인들의 자가간호와 안녕에 관한 구조모형 △이가언-시설노인의 경험 △하선옥-말초신경손상이 등쪽뿌리신경절 및 척추의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발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차보경-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통증예측모형

<서울대학교>
△박송자-기상조건이 류마티스 관절염환자의 통증에 미치는 영향 △채영란-유방암 수술후 방사선 치료중인 환자를 위한 운동 프로그램이 신체기능 및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 △황지인-병원정보시스템 도입이 간호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방법론적 트라이앵귤레이션 적용

<연세대학교>
△김현리-부부조화개념연구 △오상은-근 디스트로피 자녀를 가진 어머니의 경험 △장금성-간호사의 임상경력개발 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최자윤-청소년기 암환자의 중재 프로토콜 개발 △한신희-자기 효능 증진프로그램이 성인조혈모세포 이식자의 건강상태와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홍윤미-인공고관절 전치환술 Critical Pathway를 기초로 한 활동기준관리 모형

<이화여자대학교>
△김희정-정신장애인을 돌보는 가족원의 스트레스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안옥희-친족 성폭력 피해 경험 △정혜경-청소년 가출에 관한 예측 모형 △성영희-환자사례관리 모형 개발 및 적용효과 (Development of A Case Management Model And its Application -for the Laminectomy Patients-)

<충남대학교>
△오현숙-불확실성의 간호이론구성 △최은숙-소방대원의 출동충격스트레스에 관한 구조 모형

<한양대학교>
△윤정아-집없는 여성의 체험(homeless)-Parse의 인간 되어감 연구방법 적용


◆석사학위
<가톨릭대학교>
△송미라-금연학교 교육이 청소년 흡연자의 금연행위에 미치는 효과 △김경운-일 대학병원의 호스피스병동에 입원한 환자의 간호원가 산정 △박승희-경련성 질환과 정신 질환자에 대한 의료인의 편견 △김효정-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의료인의 편견 △안유진-일반외과 환자의 수술부위 감염 관련 요인과 추가 의료비용 연구 △윤영섭-자연분만 산모의 모유량 인식 △이성아-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요실금 발생빈도와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지영라-흡인전 기관내 생리식염수 정적이 흡인후 산소포화도에 미치는 효과 △허선미-등마사지가 경피적 경혈관 관상동맥 성형술 환자의 불안과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김미영-일여고생들의 건강통제위 성격유형에 따른 월경곤란증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김해영-양호교사의 학교 보건 교육 실시현황과 교사 직무 능력에 관한 조사 연구 △이정화-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안전생활에 대한 인식 유형 △김향숙-요통완화 운동 프로그램이 만성요통 노인의 통증,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향미-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건강자기 결정과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오일영-뇌졸중 발병전후 성생활 변화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명화-양호교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직무 만족과의 관계 연구 △최영실-사지 절단재접합술 환자의 경험 △박영란-뇌졸중 환자가족의 부담감과 환자가 지각한 지지에 관한 연구 △정미정-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정도와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공강숙-퇴원교육이 고관절 전치환 환자의 고관절 기능과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양수남-만성질환아 어머니의 부담감과 대처에 관한 연구 △정애화-일본에 거주하는 한국노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고려대학교>
△김경미-등척성 운동이 하지부동환자의 하지근육크기에 미치는 효과 △백민아-허혈성 심질환자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임혜상-비약물성 통증완화요법이 미숙아의 통증반응에 미치는 효과 △조헌하-음악요법이 미숙아의 체중증가, 활력징후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조향숙-의미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삶의 목적,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및 영적안녕에 미치는 효과 △박혜선-NCASA(Nursing Child Assessment Sleep/Activity Record)를 이용한

이월숙  kschung@nursenews.co.kr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