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이슈/기획
함께 배우는 QI(20)-간호결과 평가 통해 간호중재
기사입력 2004-11-11 오전 09:07:42
환자결과 평가는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해 최근 의료계가 가장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부분 중 하나이다. 환자결과는 `제공된 의료서비스의 결과 환자에게 나타난 변화'로 정의되며, 환자중심의 서비스 질 향상 접근법이다. 의료서비스의 효과와 비용 -효과성, 기대하는 결과의 성취도 등에 대한 평가가 포함된다.
간호는 의료서비스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간호의 기여도가 높은 환자결과가 명백히 존재하는데, 이렇게 간호에 민감한 환자결과를 간호결과라고 한다. 간호결과는 간호사에 의해 제공된 간호행위의 영향을 받아 환자에게 나타난 변화로서 간호중재의 최종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간호결과는 간호과정의 핵심요소이며, 간호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필수요소이다. 간호결과 평가는 가장 중요한 대상인 환자로부터 간호의 효과를 직접 확인함으로써 전문직 간호의 위상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며, 간호중재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간호에 대한 보상체계 확립에도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
환자결과에는 환자의 건강상태 뿐 아니라 비용, 자원의 활용, 환자만족, 삶의 질 등과 같은 개념도 포함된다. 또 중재 후 즉각 나타나는 것, 중재 후 회복단계의 중간 결과인 것, 최종 목표가 되는 것 등이 있다. 흔히 사용되고 있는 환자결과의 예로는 투약실수, 낙상, 욕창발생, 원내 감염, 계획되지 않는 재입원 등이 있다.
환자결과 평가에서는 제공된 간호중재와의 관계를 보여줄 수 있는 실증적 자료의 확인이 필수적이다.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해당 환자결과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지표 개발이 필수적이며, 환자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을 자료수집이나 분석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환자결과 및 간호결과를 개선해 나가는 것은 간호전문직의 사회적 책임이다. 각 의료기관에서 환자결과 중심의 질 향상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첫째,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졌던 환자결과 평가를 통합해 접근하는 것, 둘째, 표준화된 환자결과 분류체계를 확립함으로써 간호단위, 병원, 지역사회 간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 셋째, 환자결과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
〈이병숙 교수/계명대 간호대학〉
목록
간호는 의료서비스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간호의 기여도가 높은 환자결과가 명백히 존재하는데, 이렇게 간호에 민감한 환자결과를 간호결과라고 한다. 간호결과는 간호사에 의해 제공된 간호행위의 영향을 받아 환자에게 나타난 변화로서 간호중재의 최종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간호결과는 간호과정의 핵심요소이며, 간호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필수요소이다. 간호결과 평가는 가장 중요한 대상인 환자로부터 간호의 효과를 직접 확인함으로써 전문직 간호의 위상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며, 간호중재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간호에 대한 보상체계 확립에도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
환자결과에는 환자의 건강상태 뿐 아니라 비용, 자원의 활용, 환자만족, 삶의 질 등과 같은 개념도 포함된다. 또 중재 후 즉각 나타나는 것, 중재 후 회복단계의 중간 결과인 것, 최종 목표가 되는 것 등이 있다. 흔히 사용되고 있는 환자결과의 예로는 투약실수, 낙상, 욕창발생, 원내 감염, 계획되지 않는 재입원 등이 있다.
환자결과 평가에서는 제공된 간호중재와의 관계를 보여줄 수 있는 실증적 자료의 확인이 필수적이다.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해당 환자결과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지표 개발이 필수적이며, 환자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을 자료수집이나 분석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환자결과 및 간호결과를 개선해 나가는 것은 간호전문직의 사회적 책임이다. 각 의료기관에서 환자결과 중심의 질 향상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첫째,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졌던 환자결과 평가를 통합해 접근하는 것, 둘째, 표준화된 환자결과 분류체계를 확립함으로써 간호단위, 병원, 지역사회 간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 셋째, 환자결과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
〈이병숙 교수/계명대 간호대학〉
이병숙 news@nurs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