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정책
출산율 높이려면 여성 근무환경부터 개선
탄력근무제 활성화 … 보육지원제도 강화해야
기사입력 2009-07-15 오전 10:25:42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 높은 국가 출산율도 높아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선 여성들이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만드는 일이 가장 시급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임신·출산·육아로 인해 경력이 단절되지 않도록 탄력근무제를 적극 도입하고, 직장보육시설 등 지원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는 한국여성단체협의회가 `아이 낳기 좋은 세상 무엇이 문제인가' 주제로 7월 8일 개최한 건강한 출산문화 확산을 위한 대토론회에서 수렴된 의견이다. 각계 전문가들이 주제발표자와 토론자로 참석해 저출산 극복을 위한 여성정책 및 법·제도, 건강한 출산문화 확산 방안에 대해 열띤 논의를 펼쳤다.
이연숙 전 정무2장관은 “여성들이 출산과 양육의 책임을 다하는 것은 남성들이 국방의 의무를 다하는 것과 같이 국가의 존립을 위해 필수적”이라면서 “아이 낳기 좋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법을 제정하고 예산을 편성하는 데 여성들이 많이 참여해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우리나라는 유엔 여성차별철폐협약에 가입해 있으며, 이 협약을 충실히 이행해 나갈 때 양성평등하고 출산친화적인 사회가 만들어진다”고 말했다.
김금래 국회의원(여성위원, 한나라당)은 “정책결정과정에 여성들이 많이 참여해야 법과 제도의 변화를 이룰 수 있다”면서 “여성들이 임신·출산·육아기간 동안 경력이 단절되지 않고 일할 수 있도록 탄력근무제 모델을 개발하고 도입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밝혔다.
전혜정 연세대 아동가족학과 교수는 “직장과 가정을 조화롭게 유지하고 출산과 양육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지원하는 가족친화경영이 필요한 때”라면서 “어린 자녀를 둔 근로자들을 위해 탄력근무제를 도입하고, 보육지원제도와 휴가·휴직제도를 적극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나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세계적으로 양성평등하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높은 나라일수록 출산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면서 “여성이 가정과 사회활동을 양립할 수 있도록 다양한 근무형태가 활성화돼야 하고, 아이를 안심하고 낳아서 건강하게 키울 수 있는 지역사회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애주 국회의원(보건복지가족위원, 한나라당)은 “가족친화인증제가 자리잡기 위해선 기업에게 다양한 인센티브가 제공돼야 하며, 정부 각 부처 간 협력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면서 “여성이 행복한 직장생활을 할 수 있도록, 중산층 여성들이 많이 출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을 개발하는 데 힘쓰겠다”고 밝혔다.
김정숙 여성단체협의회장(아이낳기좋은세상운동본부 공동의장)은 “출산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정부와 정치권에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요구하는 것은 여성지도자들이 반드시 해야 할 일”이라면서 “토론회에서 수렴된 의견을 토대로 적극적인 건의활동을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목록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선 여성들이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만드는 일이 가장 시급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임신·출산·육아로 인해 경력이 단절되지 않도록 탄력근무제를 적극 도입하고, 직장보육시설 등 지원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는 한국여성단체협의회가 `아이 낳기 좋은 세상 무엇이 문제인가' 주제로 7월 8일 개최한 건강한 출산문화 확산을 위한 대토론회에서 수렴된 의견이다. 각계 전문가들이 주제발표자와 토론자로 참석해 저출산 극복을 위한 여성정책 및 법·제도, 건강한 출산문화 확산 방안에 대해 열띤 논의를 펼쳤다.
이연숙 전 정무2장관은 “여성들이 출산과 양육의 책임을 다하는 것은 남성들이 국방의 의무를 다하는 것과 같이 국가의 존립을 위해 필수적”이라면서 “아이 낳기 좋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법을 제정하고 예산을 편성하는 데 여성들이 많이 참여해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우리나라는 유엔 여성차별철폐협약에 가입해 있으며, 이 협약을 충실히 이행해 나갈 때 양성평등하고 출산친화적인 사회가 만들어진다”고 말했다.
김금래 국회의원(여성위원, 한나라당)은 “정책결정과정에 여성들이 많이 참여해야 법과 제도의 변화를 이룰 수 있다”면서 “여성들이 임신·출산·육아기간 동안 경력이 단절되지 않고 일할 수 있도록 탄력근무제 모델을 개발하고 도입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밝혔다.
전혜정 연세대 아동가족학과 교수는 “직장과 가정을 조화롭게 유지하고 출산과 양육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지원하는 가족친화경영이 필요한 때”라면서 “어린 자녀를 둔 근로자들을 위해 탄력근무제를 도입하고, 보육지원제도와 휴가·휴직제도를 적극 보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나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세계적으로 양성평등하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높은 나라일수록 출산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면서 “여성이 가정과 사회활동을 양립할 수 있도록 다양한 근무형태가 활성화돼야 하고, 아이를 안심하고 낳아서 건강하게 키울 수 있는 지역사회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애주 국회의원(보건복지가족위원, 한나라당)은 “가족친화인증제가 자리잡기 위해선 기업에게 다양한 인센티브가 제공돼야 하며, 정부 각 부처 간 협력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면서 “여성이 행복한 직장생활을 할 수 있도록, 중산층 여성들이 많이 출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을 개발하는 데 힘쓰겠다”고 밝혔다.
김정숙 여성단체협의회장(아이낳기좋은세상운동본부 공동의장)은 “출산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정부와 정치권에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요구하는 것은 여성지도자들이 반드시 해야 할 일”이라면서 “토론회에서 수렴된 의견을 토대로 적극적인 건의활동을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규숙기자 kschung@koreanurse.or.kr